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암검사3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암검진 암검사 안내, 암검진 받으면 경품? (건강검진 강요하는 사회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부터 카카오톡 알림을 받았다. 친절하게도 2023년도 국가암검진 캠페인 안내 메시지였다. 암검진 거부했는데, 받으라며 꼬시는 건강보험공단 올해초 건강검진 비수기에 여유 있게 건강검진을 받았다. 직장인 건강검진을 받았고, 검진 기본항목에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은 제외하고, 추가로 필요한 검사는 추가적으로 개인부담을 하면서 검진을 완료했다.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제외한 검사항목은 위내시경이었다. 위내시경 검사를 받은 지 2년도 채 지나지 않았는데, 또 위검사를 받는 것은 과잉검사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내 몸을 과신하는 것은 아니지만, 선진국 기준 국제적 암검사 표준 주기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짧다고 보인다. 오죽하면, '건강검진 받지마라', '암검사 받지마라' 등 과잉검사를 경계하는.. 2023. 7. 19.
건강검진 암검사 자주 해야할까? 과잉진료 암검진, 누구를 위한 검사? 건강검진 과잉검사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지닌 일본의 한 의사가 저술한 책을 읽어봤다. 먼저 저자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면, 일본 내에서도 최소한의 약만 처방하고, 최소한의 진료 및 치료비만 받고 있는 의사라고 한다. 평소 이 의사는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으면 건강검진을 받지 말거나, 자주 받지 말라는 의견을 강조한다. 건강검진과 암검사의 지나친 과잉은 일본에 국한되지 않고, 우리나라도 비슷해 보인다. 건강보험공단 체계가 잘 갖춰졌다고는 하지만, 쓸데없는 각종 검사와 건강검진에 들어가는 예산이 낭비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도대체 누구 구를 위한 검사고 건강검진인지 한 번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분명, 실보다 득이 많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암검사, 건강검진 때문에 불행해지는 사례도 많.. 2023. 5. 8.
암검사 시기별 검진주기, 5대암 연령별 검사주기 (자궁경부, 유방 등)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원인으로 항상 1위 또는 상위권에 랭크되는 질병이 암이다. 암발병률은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순이며, 성별로는 남성은 위암이 가장 많고, 여성은 갑상선암 발병률이 가장 높다. (매년 암 관련 데이터가 갱신되므로 확인바람.) 무엇보다 가장 관심갖는 지표가 암발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아닐까 싶다. 암 사망률을 성별로 구분하면, 남성은 폐암, 간암, 위암 순이며, 여성은 폐암, 대장암, 위암 순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남녀 구분없이 폐암이 사망으로까지 이어지는 확률이 가장 높은 무시무시한 암임을 알 수 있다. 아무래도 이러한 결과나 나오는 이유로 추측컨대, 남성은 흡연, 여성은 요리가 주된 원인으로 생각된다. 얼마 전 단체급식 노동자 그룹에서 평균 이상.. 2023. 4. 27.
반응형